스트레스장애 증상과 치료 :: 파워블러고릴라

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스트레스장애 증상과 치료
    이상심리학 2023. 1. 18. 00:40
    반응형
    반응형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끊임없는 요구와 변화를 강요받으며 스트레스를 느낀다.

    스트레스의 요소로는 스트레스 원(요구)과 스트레스 반응(요구에 대한 개인의 반응)

    두 가지가 있다.

    아침마다 반복되는 출근길의 러시아워나 결혼 취업 등의 삶의 전환점에서의 변화나

    좋지 않은 건강이나 귀찮은 사건 사고들 이 모두가 스트레스 원이 될 수 있다.

    스트레스 원에 대한 개인의 대처 능력의 차이에 따라 신체적 정신적 기능에 

    다양한 영향을 미친다.

     

    우리가 스트레스 상황을 만나게 되면 신체적 각성과 심리적인 공포감을 느끼게 된다.

    대부분의 경우 상황이 해결되면 바로 이런 반응은 사라지게 된다.

    하지만 일부 사람들에게는 신체 정신적 증상이 우울 불안 등과 함께 상황이 종료되어도 

    지속되는 경우가 있다.

     

     

     

     

    1. 급성 스트레스장애(acute stress disorder)

     

    스트레스 상황이 엄청나게 크고 위험한 경우 지금까지 보다 높은 신체적 각성 상태와 

    우울, 불안을 순간적으로 경험할 수 있다.

    주로 전쟁, 강간, 교통사고, 지진 등 이러한 외상 사건 속에서 상해나 죽음의 목격 등에

    노출되면 신체적인 것뿐만이 아니라 심리적으로도 외상을 입게 된다,

    증상이 사건 직후 한 달 미만으로 지속되면, 급성 스트레스장애 진단이 내려진다.

    (APA,2103)

     

    급성 스트레스장애의 경우 절반 이상이 후에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로 발전할 수 있다.

    증상은 동일하지만 지속 기간의 정도로 급성 스트레스장애인지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인지

    판단하게 된다.

     

    스트레스장애의 증상

     

    A. 사건의 재경험: 반복해서 사고의 생각이 떠오르고, 잦은 악몽과

        생생하게 사건을 재경험(플래시백)하며 실제 사건이 다시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착각하게 된다.

    B. 회피: 사건을 떠오르게 하는 활동이나 장소를 피하고 관련된 대화를 피하려고 한다.

    C. 줄어든 반응성: 멍해지거나 기억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고 주위 현실을 이질적으로 느끼기도 하며

        좋아하던 것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잃기도 한다.

    D. 증가한 각성 죄책감 불안: 쉽게 놀라고 경계가 지나치고 집중력이 떨어지며 자신만이 외상 사건에서 

    살아남은 것에 대해 죄책감을 느끼기도 한다.

    (APA, 2013)

     

    2.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외상 사건 이후 불안과 공포 및 관련 증상을 오랜 기간 지속해서 경험하는 불안장애를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PTSD)라고 한다.

    급성 스트레스장애가 사건 후 바로 한 달 이상 지속되어 외상 후 스트레스로 발전하게 되는 경우가

    절반 이상이다. 호전되었다가 몇 달이나 몇 년 후에 갑자기 다시 나타나기도 한다.

     

    급성 스트레스장애나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는 어느 연령이나 발생할 수 있다.

    미국인의 3.5% 정도가 급성 스트레스장애나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를 경험하고 있고,

    여성이 남성보다 2배 정도 스트레스장애를 발전시킨다. (Perrin et al,2011)

    어떤 사건이라도 스트레스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데, 특히 가능성이 높은 것은

    전쟁, 천재지변, 학대가 대표적이다.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의 진단

     

    A. 죽음, 성적 침해, 중상해 같은 외상 사건을 경험했다.

    B. 아래 증상 중 하나 이상을 만족한다.

      -반복적인 고통을 기억한다.

      -반복적인 악몽을 꾼다.

      -실제 사건을 다시 겪는 것과 같은 플래시백 현상이 일어난다.

      -사고 관련 단서 노출 시 고통스럽다. 

      -사건 관련 단서에 생리적 반응이 있다. 

    C. 사고 관련 단서에 지속해서 회피한다.

    D. 사고의 기억을 잃거나 반복적으로 부정하는 변화가 있다.

    E. 수면 장해, 과도한 놀람과 경계가 나타난다.

    F. 심각한 고통과 불안이 한 달 이상 지속된다.

     

    어떤 사람은 장애를 극복하고 회복하는 반면 어떤 사람은 장애를 발전시키는가에 대해 

    성격, 아동기의 경험, 생물학적 차이, 사건의 강도, 사회적 지지, 다문화 요소 등의 차이에 원인이 있다.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의 치료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환자의 50% 정도는 6개월 안에 증상이 호전된다.

    나머지 절반은 여러 해 동안 증상이 나아지지 않고 그중 1/3이 넘는 사람들은 아주 오랜 기간이 지나도

    증상이 나아지지 않는다. (Byers et al, 2014)

     

     전쟁 관련 PTSD의 치료

     

    전쟁 경험(참전군인)을 한 사람들은 약물치료, 가족치료, 통찰치료, 행동 노출 치료, 집단치료 등의

    접근법을 하나가 아니라 혼합해서 사용한다.

     

    -약물치료

     항불안제(긴장의 통제)와 항우울제(플래시백, 악몽, 우울감 감소)는 참전군인들의 치료에 유용하다.

    (Morgan et al,2012)

    -가족치료&집단치료

     가족, 커플, 집단이 서로 지지와 소통을 통해 문제해결 기술을 향상한다.

    죄책감과 분노 등을 공유하고 서로 유사한 처지인 사람들이 모여 도움을 주고받는다.

    -통찰치료

     군인들이 완전히 회복하기 위해서 전쟁의 경험이 삶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해야 하는데 깊숙이 자리 잡은

     감정을 드러내고, 경험을 수용하고 남들을 다시 믿을 수 있도록 돕는다.

     -행동 노출 기법

     재경험하던 전쟁 장면을 계속 상상하도록 해서 불안이 멈출 때까지 반복해서 불안이 사라지고 이완이 

    될 수 있도록 교육한다.

    이 기법은 악몽이나 플래시백 증상을 완화해 준다. (Fairbank &Keane, 1982)

     

     

     

     

     

     

    출처: 이상심리학(Ronald J.Corner)

    반응형

    '이상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극성 장애 진단과 원인 및 치료  (0) 2023.01.23
    단극성 우울증 증상의 치료 방법  (0) 2023.01.22
    해리장애(dissociative disorder)  (0) 2023.01.19
    불안 강박관련 장애  (1) 2023.01.16
    공포증(phobia)  (0) 2023.01.15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