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극성 우울증 증상의 치료 방법 :: 파워블러고릴라

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단극성 우울증 증상의 치료 방법
    이상심리학 2023. 1. 22. 20:40
    반응형
    반응형

    사람은 누구나 기분이 좋아졌다 나빠졌다 반복할 수 있다.

    이러한 기분의 변화는 일상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

    그러나 일부 사람들은 기분의 변화가 오래 지속되는 경향이 있다.

    특히 우울과 조증 혹은 둘 다와 싸우고 있다.

     

    인생이 어둡게 보이고 기분이 처지면서 슬픈 상태로 모든 일상의 과제가 압도적으로 

    버겁게 느껴지며 자존감이 낮아지고 죄책감을 가진 상태를 우울 (depression)이라고 한다.

    반대로 에너지가 넘치고 벅찬 행복감과 기쁨이 넘쳐나며 광적인 활동을 보이는 상태를 조증(mania)이라고 한다.

     

    단극성 우울증: 우울장애

    우울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우울한 기분으로만 고통을 받는다. 이를 단극성 우울증이라고 한다.

    조증의 이력은 없으며 기분을 끌어올려 정상에 가까운 기분이 된다.

    우리가 흔히 불행하다는 느낌이 들 때 우울하다는 표현을 쓰곤 하는데, 이때의 우울은

    안 좋은 기분이나 피로 혹은 슬픈 사건에 대한 단순한 반응일 뿐이다.

    이런 우울하다는 기분은 임상적인 우울증과 구별해야 한다. 우울증의 경우는 심각하고 

    지속적인 고통을 호소한다. 시간이 지날수록 심해지며 삶의 의지까지 잃기도 한다.

     

    단극성 우울증은 흔한 것인가?

     미국 기준 성인의 9% 정도가 심각한 단극성 우울증에 시달리며, 5% 정도는 경미한 단극성 우울증을

    경험한다. (Kessler et al., 2011)

    증상의 경중에 상관없이 가난한 사람이 부자인 사람보다 단극성 우울증 비율이 높고,

    여자가 남자보다 2배 정도 비율이 높다.

    단극성 우울증의 85% 정도는 회복되며 회복된 사람의 40% 정도는 다시 우울증이 재발한다.

    (Halverson et al., 2015)

    심각한 우울증 환자의 6~15% 정도는 자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MHF, 2014; Alridge, 2012)

     

    우울증의 증상은?

     우울증은 개인차가 있는데 주로 신체,정서, 동기, 인지, 행동에 걸쳐 증상이 나타난다.

     

    신체 증상: 두통과 소화불량 현기증 등 일반적인 통증이 있으며 이는 우울증 진단에 혼란을

    야기한다. 수면 문제와 식욕 문제도 함께 나타난다.

    정서 증상: 낙담과 슬픔을 느끼며 굴욕스럽고 비참한 기분도 느낀다.

    어떠한 활동에도 즐거운 기분을 못 느끼고(무쾌감증) 분노, 불안, 좌절을 경험하게 된다.

    동기 증상: 우울증 환자는 대부분 일상생활에서 욕구가 저하된다. 자발성과 주도성의 저하로

    억지로 먹거나 출근하기도 한다. 외부 세계와 연락을 단절하기도 한다.

    인지 증상: 우울증 환자는 열등감과 극도의 부정적인 관점으로 자신을 비난한다.

    모든 일은 자신의 탓(심지어 자기와 무관한 일마저도)으로 돌린다. 긍정적인 일도 인정하지 못한다.

    행동 증상: 우울증 환자들은 움직임이 적어지고 느려진다. 활동이 거의 없어지며 누워있기만 하기도 한다.

     

    단극성 우울증 진단
    DMS-5 기준 증상이 5개 이상이고 2주 이상 지속되면 우울증으로 진단한다.
     
    주요 우울 삽화
    1. 즐거움이나 흥미의 저하, 매일 우울한 기분이 점점 증가하게 되고 2주 이상 지속된다.
    2. 다음 증상 중 세 가지 이상을 경험한다.
    급격한 체중의 변화가 있다.
    식욕이 변화한다.
    불면증이나 과다 수면이 나타난다.
    운동 활동 감소한다.
    피로와 무기력이 나타난다.
    과도한 죄책감과 무가치함을 느낀다.
    집중력 결단력 감소한다.
    자살 계획이나 시도한다.
    3. 심각한 고통과 손상이 온다.

    주요 우울장애
    1. 조증이나 경조증 양상이 없다.
    2. 주요 우울 삽화 존재한다.

    지속성 우울장애
    1. 주요우울장애 증상을 2년 이상 경험한다.
    2. 2년 동안 증상이 두 달 이상 없던 기간이 없다.
    3. 조증이나 경조증 증상 없다.
    4. 심각한 고통과 손상이 온다.

     

    단극성 우울증의 요인은?

    스트레스:

    스트레스는 단극성 우울 증상을 야기 시킨다는 연구가 있다.

    우울한 사람들이 우울 증상이 발병한 시기에 스트레스 사건을 더 많이 경험한 것으로 알려진다.

    이를 외인성 (반응성) 우울증이라고 한다.

    내적인 요인에 의해 우울함이 발생함(내인성 우울증)과 동시에 스트레스 사건이

    우연히 발생할 수도 있는 경우도 있다. 구분을 위해 상황적, 내적 요인을 함께 알아봐야 한다.

     

    유전적 요인:

    단극성 우울증이 유전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우울증 환자의 친인척 중 30%가 우울 증상이다.

    쌍둥이 조사에서 단극성 우울증을 가진 일란성 쌍둥이 46%가 같은 우울 증상을 경험한다.

    이란성 쌍둥이는 20%만이 우울 증상을 같이 겪는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McGuffin et al., 1996)

    또한 유전자를 직접 확인하는 분자생물학으로 단극성 우울증이 

    염색체(1,4,9,10,11,12,13,14,17,18,20,21,22,X)에 있는 유전자와 연관이 있을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예를 들어 17번 염색체에 5-HTT 유전자에 이상이 생기면 세로토닌의 활동에 영향을 미친다.

    세로토닌의 낮은 활동은 우울증과 깊은 연관이 있다.

     

    생화학적 요인:

    세로토닌과 노르에피네프린의 낮은 활동이 단극성 우울증과 연관이 있다.

    항우울제는 노피에프린이나 세로토닌의 활동을 증가시켜 우울 증상을 경감시킨다.

    또한 단극성 우울증 환자들은 코르티솔의 수준이 비정상적으로 높은 것을 발견했다.

    코르티솔은 스트레스를 받으면 부신에서 나오는 호르몬이다.

    이는 스트레스가 우울증과 깊은 연관이 있다는 것을 뒷받침하는 연구 결과이다.

    그 외 면역체계 이상이나 뇌 회로 이상이 우울증과 연관이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단극성 우울증의 치료

     

    단극성 우울증의 치료 방법은 생물학적 심리학적 사회문화적 접근법으로 다양하게 있다.

     

    생물학적 치료

    전기충격요법: 주로 우울증 환자에게 사용되는 치료이다. 항우울제 사용이나 식물보충제 등의 사용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 머리에 전극을 연결해 전류가 흐르도록 해서 뇌 발작을 유발한다.

    이는 심한 우울증에 효과가 있지만 발작으로 인해 골절이나 관절이 탈구되는 등 부작용이 심하다.

    최근에는 수면 유도약을 사용해 이를 방지한다.

    (Hanna et al., 2014)

    항우울제: 단극성 우울장애 증상을 경감시키는 약으로 모노아민옥시다제 억제제삼환계가 있다.

    모노아민옥시다제 억제제는 노피에프린의 활동을 방해하는 효소의 생성을 억제한다. 결과적으로 

    우울 증상을 경감시킨다. 하지만 치즈 바나나 와인과 같은 음식과 티라민을 함유한 음식과 화학적 결합으로

    혈압을 급격히 상승시킬 수 있는 부작용이 있다. 식단을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

    분자 구조 내에 3개의 원을 가진 항우울제 약물인 삼환계는 신경전달물질의 재흡수 기제에 작용해서 우울증을

    줄여준다.

    (Ciraulo et al., 2011)

     

    심리학적 치료

    정신역동 모델: 초년 시절에 겪은 상실이 우울증의 기초가 될 수 있는데 아동기에 부모를 잃은 사람들이

    우울척도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타인에 대한 과도한 의존에 의해 상상의 상실에 대한

    무의식적 애도의 결과로 볼 수 있다. 환자의 연상, 저항, 꿈 등에 대한 해석을 제공하고

    과거의 감정을 재검토하도록 돕는다. (Busch et al., 2004)

    행동 모델: 우울증 환자의 긍정적 보상의 수를 증가시키기 위해 환자들이 즐거워하는 행동과 

    긍정적인 활동을 추가해서 자기 자신의 비난이나 부정적인 행동을 줄여나간다.

    인지 모델: 우울증을 가져오는 사고방식을 찾아서 변화시키도록 돕는다.

    활동을 늘리고 기분을 고양한다.-> 자동적 사고에 도전한다.->

    부정적 사고를 찾는다.-> 기본적 태도를 바꾸꾼다.

     

    사회문화적 치료

    대인관계 치료: 대인관계의 문제를 찾아내어 변화시키는 것이 우울증 회복에 도움을 준다.

    대인관계에 있어 역할기대가 서로 다를 때 오는 갈등으로 인한 문제와 지나친 수줍음이나 사회기술 부족에서

    오는 대인관계 결함을 찾아내서 사회기술을 교육하고 자기주장을 돕는다.

     

    고전적으로 항우울제와 심리치료 등의 방법으로 우울증 치료를 해오고 있다.

    최근에는 식물치료를 통해서 가벼운 우울증과 경증 치매 등을 예방한다.

    그밖에 음악 치료, 자연요법 등 다방면으로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을 연구 중에 있다.

     

     

    출처: 이상 심리학 (Ronald J.Corner)

    반응형

    '이상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살의 연구  (0) 2023.01.26
    양극성 장애 진단과 원인 및 치료  (0) 2023.01.23
    해리장애(dissociative disorder)  (0) 2023.01.19
    스트레스장애 증상과 치료  (0) 2023.01.18
    불안 강박관련 장애  (1) 2023.01.16

    댓글

Designed by Tistory.